-
이건 내가 정리하려고 적은거라 대충 적었음
웹서버 (Nginx)
-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페이지 요청을 하면 요청을 받아 정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
- 가장 앞에서 요청을 처리한다
- 요청을 기다리고 요청에 대한 데이터를 만들어서 응답함
CASE
- Client 에서 Request 가 들어 올 때
1. 정적 컨텐츠 일 경우 ----> .html, .png, .js 등 응답 (response)
2. 정적 컨텐츠 X -----> WAS 처리 요청 -> WAS 의 response 값을 웹서버가 response 해줌
--------> 이런 일을 하는게 리버스 프록시라고 한다.
nginx config 를 읽어 봐야겠다
WAS (Web Application Server)
- 동적 컨텐츠 제공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서버
client -> nginx -> 정적인지 판단 -> 정적임 (react js 페이지 나올 거임)
-> react api -> nginx -> 정적인지 판단 -> was
이런 순서로 진행된다
아마 방화벽은 Nginx 앞단에 있을 꺼고
WAS 랑 NginX 는 같은 존에 두는 듯?!?!
'알아두면 좋은것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왜 이게 롤백 되는거지!?!!?! (0) 2020.09.09 의존성 주입 DI (Dependency Injection) 클래스 주입 (0) 2020.09.08 템플릿 메소드 패턴 / 팩토리 메소드 패턴 / 팩토리 메소드 (0) 2020.09.05 Spring Transaction 관리 (0) 2020.05.29 의존성 주입 DI (Dependency Injection) (0) 2020.05.29 댓글